티스토리 뷰

반응형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CBuJ9AeFdAE

 

박문호 박사의 강의 1부는 공부법, 뇌과학, 기억 원리를 중심으로 에너지가 최소로 드는 공부법맥락의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. 아래는 핵심 요약입니다.


✅ 1. 공부법의 핵심 원리: 대칭화 - 모듈화 - 순서화

🔹 대칭화

  • 복잡한 정보를 단순한 구조로 바꾸는 것.
  • 예: 신경세포는 형태가 제각각이라 이해가 안 됐는데, 사각형(벽돌)으로 통일하자 전체 연결이 보이기 시작.
  • 대칭은 구조와 연결을 쉽게 만든다.

🔹 모듈화 (모듈성의 원리)

  • 하나의 단위(모듈)를 반복해서 전체 구조를 만든다.
  • 아파트, 기차처럼 하나의 동일한 유닛으로 전체를 구성.
  • 단위성, 자동 연결성, 자동 확장성 확보 가능.

🔹 순서화

  • 지식도 순서가 있어야 쉽게 인출된다.
  • 예: 유럽 10대 강 이름도 순서화해서 외우면 한 번에 기억됨.
  • 순서화는 인출력을 극적으로 높인다.

✅ 2. 뇌의 작동 원리: 최소 에너지 전략

  • 뇌는 근육이 아니다.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식으로 작동.
  • 억지로 반복하면 강박이 되고, 동기 상실.
  • ‘공부는 평생하는 것’이므로 처음부터 에너지 절약형 방식으로 시작해야 한다.

✅ 3. 기억의 구조: 맥락 기억 vs 탈맥락 기억

🔹 맥락 기억

  • 장소, 시간, 감정이 함께 붙은 기억 (예: 특정 날의 경험).
  • 용량 무제한, 잘 안 잊힌다.

🔹 탈맥락 기억

  • 정보만 남아 있는 기억 (예: "링컨은 16대 대통령").
  • 시험에 필요한 기억은 대부분 탈맥락 기억.
  • 처음엔 맥락 기억으로 시작 → 점점 탈맥락화시켜야 장기 기억에 남는다.

✅ 4. 맥락의 세 가지 유형

유형 설명 별칭

공간 맥락 패턴, 배치 구조 이해 (예: 타일, 건물 구조) 패턴
시간 맥락 원인-결과 관계, 연속성 법칙
사회적 맥락 사람들 사이의 감정, 분위기 흐름 분위기
  • 맥락을 읽는 능력은 예측, 창의성, 센스의 기반이 됨.
  • 사회적 맥락을 빨리 파악하는 사람 = 소통 잘하는 사람.

✅ 5. 창의성의 본질

  • 다르게 보이는 두 현상에서 동일성을 발견하는 능력.
  • 아리스토텔레스도 천재를 "비슷한 것의 동일성을 찾아내는 사람"이라 정의함.

✅ 6. 실전 팁

  • 삼각형보단 사각형, 곡선보단 직선 → 뇌가 편안하게 인식.
  • 공부에 지쳤다면 멈추고 메타인지(자기 관찰) 필요.
  • **공부는 '나무 보기'가 아닌 '숲 보기'**가 먼저다.
  • 맥락을 확장하는 훈련을 하면 전체 구조가 보이고 나무(세부)는 자동 생성된다.

📌 핵심 문장 요약

"공부는 무작정 열심히 하는 게 아니라 대칭화-모듈화-순서화로 최소 에너지 전략을 세워야 하며, 이 과정을 통해 창의성의 고속도로를 탈 수 있다."

 


728x90